본문 바로가기
전기안전기술사

단락접지용구의 사용 목적과 설치 순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

by NeoG 2019. 2. 13.
반응형

가.   설치목적

1)     정비작업 중 정전된 회로가 실수로 재통전 될 수 있으므로, 적절한 단락접지를 수행하여 작업자를 보호하여야 한다.

나.   설치순서

1)     단락접지기구를 설치하기 전 전선의 손상, 클램프의 결함 여부 등을 점검하여야 한다.

2)     단락접지기구는 정전상태에서 정비작업을 수행하는 지점마다 설치하여야 한다.

3)     단락접지 인하도선은 금속구조물이나 접지버스에 먼저 접속한 후 정전설비의 상도체간을 연결하여야 한다.

4)     설치그림

다.   해체순서

1)     단락접지기구를 철거할 때에는 설치절차와 반대로 정전설비의 상도체로부터 인하도선을 먼저 분리한 후 금속구조물이나 접지 버스에 연결된 인하도선을 분리시킨다.

라.   접지용구의 선정시 고려사항

가.   사고 시 100kA를 초과하는 고장전류가 흐를 수 있으므로, 단락접지기구에 사용되는 접지클램프 및 케이블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.

-       접지클램프는 고장전류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용량과 케이블에 부착하기에 적합하여야 한다.

-       접지케이블은 고장전류를 흘릴 수 있는 충분한 사이즈가 되어야 한다.

-       접지케이블의 낮은 저항을 유지하기 위하여 가능한 짧아야 한다.

마.   단락접지기구를 철거한 후 재통전하기 전 다음의 사항을 확인하는 절차가 수립 시행 되어야 한다.

1)     설치하는 모든 단락접지기구에는 식별번호룰 부여하여 기록하고, 철거할때 설치 시 기록된 번호를 지워 나간다.

2)     단락접지기구가 배전반 내에 설치된 곳에는 문을 닫거나 덮개를 덮어서는 아니 되며, 만일 접지기구가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설치될 때에는 단락접지기구가 안쪽에 있다는 사실을 알리기 위하여 문이나 덮개에 표지를 부착하여야 한다.

재통전하기 전 모든 도체에 접지된 부분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절연저항 측정기로 절연시험을 하여야 한다.

반응형